Samung UK Mobile 이 이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통해서 아이폰4 유저중 안테나 불만인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갤럭시S를 제공하는것으로 보이는 대화내용이 있네요.

(아래 이미지는 확대하면 원본사이즈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 해당 트위터 경로는 (http://twitter.com/samsungukmobile) 입니다.

내용을 보면

"트위터를 통해 갤럭시S 한번 써보고 싶다는 트위터글을 보았다 그래서 테스트해보라고 한대 보내준다."

"통화 품질문제에 대해서 들었다. DM으로 상세한 내용을 알려주면 무료 갤럭시S를 보내주겠다!"

"아이폰4 대체용으로 쓸수있도록 갤럭시S 보냈다. 좋은 품질의 통화하길 바란다."

엄청나게 파격적인 마케팅으로 보이네요.

아래는 무료 갤럭시폰받은 사용자의 트윗글입니다.


"화면이 아이폰4 보다도 낫다"는 평을 올렸군요.

이건 또 다른 사용자의 공짜 갤럭시S, 내용을 보면 아이폰4대신 잘쓰라는 메시지가 있네요. 삼성 UK 모바일 팀이 보냈군요.




  그동안 외국사이트에서는 삼성폰이나 삼성에대해서 대체로 호평이많은데 비해 유난히 국내에서는 삼성을 싫어하는분들이 많은것 같은데 결국 이런 마케팅의 차이도 영향이 있는게 아닌가 싶네요.



 요즘 구글의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인 구글 앱엔진에 대한 관심이 높다. 저 또한 구글 앱엔진이  구글의 여타 서비스 처럼 월 500만뷰 가량이라는  화끈한(?) 용량제공이라는 유혹에 덥썩 물어줬습니다. 

  구글앱엔진 로그인 화면에서 서비스 상태가 아직은 프리뷰 단계라고 표시는 하고 있지만 급한 마음에 실제 서비스를 운영해보기 위해 도메인네임까지 등록 해보았는데.  최종적으로 도메인 네임을 애플리케이션에 매핑까지 완료 해놓고 보면 별것 없지만  처음에 잘못 하면 헤메는 수가 있어서 했던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하단의 이미지들은 모두 클릭하면 원본사이즈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앱엔진은 등록했다는 가정하에 먼저 도메인 네임을 준비해야 합니다.

1. 도메인 네임 미리 준비

  구글앱엔진에서 도메인네임을 매핑하기위해서는 사전에 도메인네임을 준비해두거나 구글에서 등록이 가능한데 이때 구글에서 등록시에는 결제가 안된다는 사실에 주의 해야합니다. 
 - 구글 사이트에서는 아직 도메인네임 구매와 관련해서는 결제 단계에서 국가를 선택할때 대한민국이 빠져있으니 주의 -

  따라서 미리 준비를 해두어야 하며 도메인네임에 대한 IP,CNAME, MX 설정을 직접할 수 있도록 하는 도메인 네임 서비스 업체를 추천합니다. 여기서는 가비아의 경우를 갖고 설명할 계획입니다.

2. 앱 앤진 설정에서 도메인 등록하기


앱엔진 애플리케이션에 도메인을 등록하려면 설정화면에서 Application Settings -> Domain Setup -> Add Domain을 선택합니다.

클릭시 확대 됩니다.


그리고 나면 Add Domain 이라는 화면이 나오는데 조금 헷갈릴 수 있지만 간단합니다.

구글의 앱엔진은 사실 앱엔진 자체를 서비스로 하는 용도 보다. 본래 기업용 Apps 서비스의 확장개념이라고 보는게 쉽습니다. 즉 앱엔진 애플리케이션에 도메인네임을 부여하려면 먼저 해당 도메인에 대한 구글 Apps가 만들어져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구글앱스에 처음 등록하는 도메인네임인 경우에는 먼저 구글 Apps를 구성하기위해 위 화면의 우측 부분에 있는 Sign up for Google Apps 를 클릭하세요.


기존 도메인 이름사용할지, 새로 구매할지가 나옵니다.
이때 기존 도메인을 사용할경우에는 좌측에 "기존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겠습니다."에서 도메인이름을 넣고 진행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제가 하던 시점에는 도메인 이름을 구매하려고 했을때 한국에서는 결제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므로 별도로 미리 준비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이름과 주소 연락처를 넣습니다. 그리고 [계속] (아래 조직정보는 선택입력항목입니다.)

그럼 3번째 단계에서는

관리자 계정을 만들도록 합니다. 관리자 계정은 이후 해당 웹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나면 해당 도메인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 관리 대시보드가 나오게 됩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해주어야 할것이 도메인에 대한 소유권 확인 입니다.
상단에 보면 "도메인 소유권을 확인하십이오" 라고 보이며 이를 클릭하면


소유권 최종 확인단계로 들어가는데

상단에 첫번째 빨간 부분을 보시면 "HTML파일 업로드""CNAME 레코드 변경"이 있는데 저는 "CNAME레코드 변경"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CNAME 레코드 변경"을 선택했으면 2번에 나온 고유 문자열을 도메인관리 사이트로 이동하여 CNAME 관리란에 이를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가비아 같은경우에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비아에 접속해서 로그인을 하게 되면 도메인관리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여기에서 보시면 이용 부가서비스라는 곳에 네임플러스 표시가 있는데 이것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럼 다음 화면에서 아래쯤으로 내려가면 다음과 같은 CNAME 설정 부분이 나옵니다.


그러면 앞서 구글 앱엔진에서 "도메인 소유권을 확인해주세요"에서 CNAME에 입력할 고유문자열을 좌측(별칭)에 입력하고 값 위치 부분에는 google.com.  (맨뒤에 점을 하나찍어주어야 합니다.) 라고 입력합니다.

그리고 나서 가비아화면의 맨아래 [변경] 버튼을 클릭하면 먼저 가비아측의 도메인 설정에 반영이되고 설정된 화면내용이 확인 되면, 이어서 구글 앱 설정화면으로 돌아가서 [확인]을 클릭해주면 됩니다.

그러면 다시 대시보드로 돌아갔을때 소유권 확인중이라며 최대 48시간 걸린다고 하는데. 해당 호스트명으로(예, google1203u12038102.google.com) 서핑한번 해주면 대개 거의 바로 또는 수분안에 확인완료 됩니다. 안되면 48시간 걸리는 거구요.. ^^;;

이럼 여기까지 하면되구요..  만일 이메일서비스도 자신의 도메인을 통해 서비스 받고 싶다면 도메인관리사이트에 MX 란에 google mail 서버를 추가해주면됩니다.

그럼 즐거운 앱엔진 개발 하세요~



버라이즌은 최근  출시한 모토로라 드로이드X 가입자가  다른 단말기가입자에에 비해 5배나 많은 데이터 사용량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드로이드X가 4.3인치 화면을 갖춰 보다 많은 동영상을 이용하게하고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하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게다가 최근에 막 출시한 상태라 이른바 허니문 효과로 폰을 사용하여 보다 다양한 경험을 해보려고 하는 것도 주요한 이유로 보고있습니다. 그래서 가입자들이 드로이드X과의 허니문이 끝나면 사용량은 어느정도 떨어질것으로 보고 있지만 지금의 가입자들이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어 데이터 사용량이 쉽게 감소할지는 의문입니다.




또 한가지 요금제 관련 루머가 있는데, 이에 따르면 버라이즌이 무제한데이터 사용과 관련해서 7월 29일경에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없앨 것으로 보고 있는데 그렇더라도 신규가입자에 해당 하는내용이라 기존가입자들은 여전히 많은 데이터 사용량을 사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국내 SKT에서도 비슷한 데이터 무제한을 도입하려고 하고 있으나 방통위 심의가 쉽지 않을 전망인데, 앞서 미국에서 AT&T가 데이터 무제한을 없애고 버라이즌도 관련 루머가 돌고 있어 이러한 것이 SKT에 영향을 주는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무제한 요금제가 되던 안되던 데이터 요금은 계속 가격이 하락할 수 밖에 없을 것이고 결국 대박을 맞는건 스카이프가 될것 같습니다.


  GM의 자회사의 OnStar의 서비스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OnStar 앱이 지원차량과 기능을 확장하여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용으로 공개 되었습니다. (지난 1월에는 Chevy Volt만을 지원하는 안드로이드폰용 앱이 공개된 적이 있습니다.)

OnStar 앱을 이용해 관리 할 수 있는 차량은 Buick, Cadillac, Chevy, GMC  2011년 형 차량 모델까지 입니다.

OnStar앱의 기능으로는 단거리 주파수 통신이 아닌 인터넷을 통한 원격시동, 잠금해제, 경적 울리기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타이어 공기압 상태, 연료의 양 체크 등의 차량상태 정보 조회와 OnStar 서비스에 연결하여 딜러와 약속을 잡을 수 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항에서 두고온 차량의 잠금상태가 걱정되었을때는 OnStar 앱을 실행시켜서 바로 잠금상태로 할 수 있고, 더운날 차량에 타기전에 먼거리에서 차의 시동을 걸어 에어컨을 가동시킬 수 도 있 습니다.  이는 인터넷을 통한(CDMA 기반) 차량제어이기 때문에 물리적인거리와 거의 무관하게 작동 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상시에는 버튼하나만 눌러서 바로 OnStar 서비스 전화 연결되어 차량에 대한 원격 통제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OnStar의 도난감속서비스를 받고 있다면 해당 차량에서는 GPS와 CDMA로 연결되어있어  차량 도난 사고발생시 차 소유주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담원이 원격지에서 속도를 감속시켜서 세울수도 있습니다.)

OnStar서비스는 현재  GM 차량 소유자는 1년간 무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이후에는 서비스 수준에 따라 월 20~30달러 비용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2010년 하반기에 들어섬에 따라 주요 IT 기업들이 지난 분기 실적을 발표하고있는데요. 6월에 회계년도를 마감하는 마이크로소프트도 실적을 발표했는데.. 같은 분기 애플의 실적이 워낙 좋다보니 이번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애플에 밀리지 않을까 하는 기대하는 측과 우려하는 측이 있었는데 이번에도 MS가 앞선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내용을 보면 흥미로운것이 매출과 순익의 차이입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매출차이는 3억4백만 달러지만 순익차이에 있어서는 12억 7천만달러입니다. 이는 아무래도 H/W 위주의 매출 비중이 큰 애플보다는 그래도 부가가치가 높은 S/W 매출 비중이 큰  마이크로소프트가 높은 이익을 갖게하는 점이 아닐까 합니다.

사실 애플의 하드웨어 마진은 여느 제조업과는 달리 50%육박할 정도로 높지만. 그래도 일단 개발하고 나면 무한대로 찍어내도 추가비용이 거의 없는 S/W와는 차이는 어쩔수 없는 것 같습니다.

거기에 Bing 투자및 Xbox 매출저조, Kin 폰 실패로 많은 손해를 본것을 감안한다면 마이크로소프트의 저력은 여전 합니다.

6월 30일로 회계년도를 마감한 마이크로소프트,  올 11월에 Xbox 360 기넥트번들이 발매 되고, 연말이나 내년초에는 윈도우폰7 을 출시할예정인데 혁신적인 인터페이스로 거듭나는 Xbox와 윈도우폰7이 회계 차년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대 됩니다.






조지워싱턴 항공모함이 21일 부산항에 입항해서 공개 행사를 가졌군요

관련 해서 방송으로 소개하는 영상이 있어 올려봅니다.


Get Microsoft Silverlight
한반도 긴장을 고조 시킨다며 입항을 반대가 있었지만 한미동맹강화를 위해 이번 한미합동훈련(25일부터 예정)을 위해 부산항에 입항 했다고 합니다.

떠다니는 군사기지라 불리는 조시워싱턴호는

무게 : 9만 7천톤급
길이: 360미터
폭: 78미터  (아파트 20층)
높이: 81미터

전체 면적은 축구장 3배(18,111 제곱미터) 정도 된다는 군요, 아시아에서 가장 큰 수송선인 독도함(1만 4천톤급)의 10배라고 합니다.


건조비용 : 5조원 (대한민국 해군 1년 예산 7조 5천억 원)
승선인원 : 6천여명.(항공모함운용 3천, 함재기 운용 3천)
전투기 : 80여기 탑재
내부시설 : 대규모취사장,현금인출기, 세탁소,농구장,박물관 등 거의 공항수준
연료:  원자로 설치 별다른 연료 공급없이 20년 운항이 가능.
식량 : 1인당 90일치씩 보관, 매일 깨끗한 물 생산생산  가능


갑판으로 3초만에 전투기를 끌어올리는 엘리베이터도 있네요

규모가 엄청나네요..




32비트 인터넷 주소 방식인 IPv4 주소의 남은 개수로 볼때 앞으로 343일이면 고갈 된다고 합니다.

IPv4Countdown 이라는 트위터 계정(http://twitter.com/IPv4Countdown)에서는 IPv4 주소의 남은 숫자로 예상되는 제공 가능 예상종료일을 카운트다운 하면서 날짜가 감소할때 마다 트위터로 알려주고있는데요.

오늘은 벌써 하루에만 3일치가 감소해버렸네요.

IPv4는 32비트 값으로 표현되는  000.000.000.000 형식의 인터넷 주소를 말합니다. 이미 IPv4 인터넷 주소가 고갈되것에 대비해 1998년에 IPv6 라는 128비트 주소체계를 정의했지만 사실 지금까지도 인터넷 주소체계에 대한 인식은 32비트에 머물러 있는것 같은데요.

  스마트폰, IPTV, 인터넷 전화와 같은 다양한 홈가전이 각각 IP를 갖게 되면서 점점 고갈 속도는 더 빨라지고있지만 IPv6 의 적극 활용은 아직도 거리가 있어보이는데 뭔가 특단이 조치가 필요한거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일부에선 IPv4 의 고갈이 또 다른 Y2K 처럼 IT 전반에 초대형 이슈가 되는것은 아닌지 우려하는 시각도 있는것 같습니다.

월드컵때 트위터가 수시로 멈추는 문제가 있었던  때문이었을까요?

트위터가 오늘 솔트레이크시티에 독자적인 데이터 센터를 만들어 이전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이렇게 옮기는 이유로 몇가지를 꼽았는데요.

먼저 2010년 지속적인 사용자 유입의 증가로 최근 일 평균 30만명이 새로 가입을 하고 있는 추세가 계속 되면서 여러 복잡한 기술적 문제가 생겨 나고 있다고 합니다. 보다 확장된 처리 능력을 갖춰야 한답니다.

둘째로는  트위터가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네트워크와 시스템 환경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내용상 현재는 독자적인 공간에 있는게 아닌것같습니다.)
그리고 유연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 스트럭쳐를 갖추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는  보다 높은 가용성과 여유시스템을 확보 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트위터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위치 하고 있으며 2006년 3월 21일에 설립하여 1억6천만달러를 투자 받았습니다.

지난 주 16일 페이스북이 2주안에 가입자 수가 5억명을 돌파할 것이라는 예상을 전해드렸었는데요 1주일도 채안되서  본사 시각으로  7월 21일 오전에 페이스북 실사용자가 5억이 넘었다는 소식입니다.

지난 4억명 돌파가 올해 1월 5일 이었으니 166일만에 이룬성과 입니다. 지난 3억에서 4억명때보다는 증가 속도가 주춤하지만 이미 워낙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감사의 의미로 Facebook 스토리 라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오픈했다고 합니다.



http://stories.facebook.com/


주제나 지역별로 글을 볼 수 가 있는데. 한국에는 이민호라는 배우(?) 1명 밖에는 안보이네요... 저도 글을 올려봤는데 시간이 걸리는건지 아직 안보입니다.

페이스북 사용하시는 분은 재미삼아 글 하나 올려보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2010/07/16 페이스북 곧 5억 유저 돌파 예상!
 


  아이폰 OS가 iOS4 로 업데이트 되었지만 실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없다 보니 이를  제대로 즐길(?)만한 경험을 하지 못했는데요.

최근 벅스뮤직과 도시락 앱이 업데이트 되면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벅스뮤직앱이나 도시락앱은 이전에는 음악 스트리밍을 이용하다 홈 버튼을 누르게 되면 음악이 종료되었지만 이제는 종료되지 않고 백그라운드로 지속 플레이 됩니다.

그리고 다시 해당 프로그램을 돌아오면 플레이중인 음악을 중지 시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제 음악을 들으면서 사파리브라우져 웹서핑을 해보았지만  느려진다는 느낌 없이 사용이 가능 했습니다.


혹시나 싶어 MBC라디오와 SBS라디오 프로그램을 테스트해보았지만 이 2개의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는 아직 멀티태스킹이 지원되지 않아 홈 버튼을 누르면 종료되어 버립니다.

라디오 앱을 즐기는 분이 계시다면 해당 업체에 멀티 태스킹 지원을 요청해봐도 좋을것 같습니다.


이제 벅스뮤직 스트리밍 음악을 즐기면서 웹서핑을 할 수 있게 되었네요. 보다 많은 프로그램이 빠르게 멀티태스킹을 적용해주길 기대해 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