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마다 올라가는 집근처 구봉산.


지난주에는 없었던 벚꽃이 예쁘게 피었네요..


산수유꽃들과  적당히 어울어져... 마치 꽃 가지들이 캐노피가 된 마냥 길위를 덮고 있네요..




(올라가면서  돌아본 구봉산길)


다음주에는 비가와서 꽃들도 금방 떨어질것 같다는데..


지는 벚꽃이 아쉽지만..


대신  5월에는 아카시아 향기가  구봉산 길 걷기를 즐겁게 해줄겁니다.



  새로이 웹사이트를 꾸며 보려고 저렴한 호스팅으로 유명한  디지털 오션(Digital Ocean) 클라우드 호스팅을 이용중인데,


   월 5달러 짜리 최저가 리눅스 호스팅 서비스를 부담없이 이용중이긴 한데, 해당 서버위치가 싱가포르라서 ping 속도가 좀 느리다는 점이 아쉽고, 윈도우 호스팅을 좀 해봤으면 해서 알아 보니 유명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가 있고,  국내에는 가비아에서 하지만.. 소기업이나 개인이 하기에는 좀 비싼느낌이기도 하고, 가격대비 좀 아쉬운점들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열심히 구글링 하던차에  오늘 괜찮은 사이트를 하나 발견해서 설치 셋팅까지 해보고 속도테스트도 해봤는데 괜찮은것 같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사이트는 https://www.vultr.com/   입니다. 


  이곳의 특징은  

   첫째, 100% SSD 기반이면서 가격이 저렴하다.  리눅스 최저가 서비스인 경우 메모리는 768MB/15GB사용시   월요금 5달러면 충분.

   둘째,  해외망이긴 하지만  해당 호스팅지역 중에 비교적 가까운 일본 도쿄도 있어  Ping 속도가 40~50msec 안에 들어오는 편이라 나쁘지 않다는점.

   셋째,  자체 평가 기준 DO(디지털오션) 보다 가격 대비  성능이 좋다는 점. 디지털오션처럼 100% SSD 기반이라는 것도 좋네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가장맘에드는 점은  커스텀 OS가 설치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iso 파일이 있으면 해당 파일을 업로드 해서 설치하면 되기때문에 OS제한이 없고 심지 윈도우도 설치가능하죠. 

  

  보통 윈도우를 호스팅하려면 해당 라이센스 비용문제때문에 리눅스보다 최소 1.5배 ~ 2배가량 비싼 편인데. 본인이 설치가능 정품이 있다면 리눅스 가격으로 이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죠. 


vultr.com 사이트에서는 클라우드 호스팅상품으로 윈도우서버 2012를 판매하고 있지만 이를 이용할 경우 가격이 두배가 됩니다. 하지만 같은 윈도우 서버 2012라 하더라도 직접 이미지를 올려서 설치하면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한 것이죠.


그러면서도 요금은  리눅스와 동일 하기 때문에 매력적이었습니다. 특히나 윈도우 8.1 을 설치하려고 하는 제게는 더욱더 끌리는 상품이더군요.


그래서 망설일것없이 iso 파일을 올려서 설치하려는데 몇가지 사전 준비가 필요했습니다. 


아래 그림은 해당 홈페이지 안내문인데.  만일 커스톰 OS 로 윈도우를 설치하려면  VirtIO Drivers 를 설치해야 한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이글을 보자면 분명 커스텀 OS 로 윈도우를 설치하는건 문제 되지 않는다는 뜻이되는것이고, 다만 기본 ISO 이미지는 디스크 인식을 못하므로 VirtIO driver를 이미지에 포함시키라는 의미인 거죠.  


게다가 해당 홈페이지에는 친절하게도 VirtIO Driver를 포함시키는 설명글 까지 있었으니.... 


그래서 얼른 가지고 있는 Windows 8.1 DVD ISO 이미지에  VirtIO 이미지를 내려받아 포함시켜 다시 부팅가능한 ISO 이미지를 만들었습니다.


만든 이미지는 바로 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http나 ftp 서버에 해당 이미지를 올린뒤 이를 내려받을 수 있는 URL을 넘겨줘야 합니다.


 


이렇게 해서 한번 올려놓은 iso이미지는 계속 사용가능하고,  Custom ISO탭에서 해당 이미지를 Attach  해서 부팅해주면 PC에 OS를 설치하듯이 웹 콘솔화면을 보면서  설치가 가능했습니다.


한번 윈도우를 설치한뒤에는  Windows update 를 통해 최신 패치까지 적용해준뒤, snapshot 을 생성해줄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이후에 추가로 같은 OS를 사용하는 Deploy를 생성하는데 편리합니다.   지금은  snapshot 생성에 대해 별도 비용을 받지 않는 다는 점도 장점이네요.


국내에는 아직 클라우드 호스팅업체가 많지 않기도 하지만. 실제 서버 운영상에 편의성에도 글로벌 업체에 비해 한계가 좀 있는것 같습니다.  특히나 가격적인 면에서도 외국업체가 유리한 편인데. 다만 전송 속도가 아쉽긴하지만.   https://www.vultr.com/   정도면 충분히 상용서비스나  기업체 홈페이지등을 구축하는데는 충분해 보입니다.


이하 업체 월 요금표 입니다. 참고하세요




가입할때 신용카드가 있어야 하며,  현재 가입시 기본 크레딧 5$를 제공하고, 트윗터 팔로잉및 리트윗시 $1씩 추가 제공하고 있네요..





  해외 여행을 가게되면 꼭 준비하게 되는것 중 하나가 현지 화폐 준비 입니다.


여러분은 환전을 어디서 하시니요? 


환전하면 '무조건 외환은행이다' 하고, 외환은행만 가시나요. 아니면 출국장 들어가기 전에 공항에 있는 은행에서 비싸게(?) 환전하시나요.


  저도 환전은 그냥 환전쿠폰 주는 가까운 은행지점에서 대충하는 편인데.  환전 쿠폰 적용전 환율이 은행마다 다르고, 심지어 매매 기준율 까지 다르다는 것을 최근에야 알게 되었습니다. 보통 외화 매매 기준율 하면 한국은행이나 외환은행 같은데서 외환시장에서 결정된것을 다 동일 하게 적용하는 줄 알았는데, 꼭 그런게 아니었습니다.  외환딜러들에게 적용되는 기준율과는 또 다르게  은행별로 '대 고객 매매 기준율' 이라는게 있고. 여기에 외환을 사거나 팔때 적용되는 스프레드율 (수수료라 생각하면 될것같습니다.)이 또 다르게 적용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외환 환전 쿠폰은 스프레드율(수수료)에 할인율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매매기준율이 높고, 스프레드율이 높다면 환전할인 쿠폰에 높은 할인을 받더라도 실제 환전 할때 비용은 더 들 수 도있는 것이죠.  


그리고 매매기준율이 높으면 살때보다는 팔때가 유리하게 되는것이기 때문에 매매기준율만을 놓고 판단하기도 쉽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통상 매매기준율은 외국환 종류에 따라 은행별 적용기준이 다르고, 스프레드율도 다르며, 시간에 따라 수수료도 다르기때문에 이러한것을 은행마다 일일이 찾아 비교하기가 쉽지 않은데요.  


이런것을 한꺼번에 비교 해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트립위허라는 여행커뮤니티 사이트에 실시간 은행별 환전비용 비교서비스 입니다.


이용방법은 http://trip.weheo.com/CompareExRates  링크로 바로 가면 됩니다.


접속한뒤 잠깐 기다리고 나면 서비스 화면이 뜹니다.


이용방법은 간단합니다.



실시간 은행별 환율 비교 예시



위 그림에서 처럼 비교하려는 외국돈을 선택한뒤  금액을 입력하고 [비교]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최대 14개 은행까지 해당 외화를 취급하는 은행들의  현재시점에서  매매기준율과 이를 실제 살때 수수료까지 포함되는 우리돈(원화)와 이때 포함된 수수료가 보여 집니다. 

그리고 가장 유리한 은행 순서대로 보여지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만일 환전할인이 가능한 쿠폰이 있다면 .. 쿠폰을 적용했을경우도 비교해볼 수 도 있는데요.


[은행별 할인율(쿠폰)적용하기] 앞에 체크하면 할인율을 입력할 수 있는 란이 보여지고, 이때 각자 받을 수 있는 환율쿠폰 퍼센트를 입력한뒤 다시 [비교]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위 그림처럼 환전할인 쿠폰까지 적용된 비교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죠.  앞서 그림에서는 환율 쿠폰을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산업은행이 가장 유리한 조건이었지만  외환은행에서 50% 할인이 가능하다면 (보통 외환은행에서 USD 경우 이정도 할인은 늘 하는 편이므로) 가장 유리한 조건이 되는 것이죠.


또 해당 서비스는 PC에서 뿐아니라 스마트폰에서도 비교하기 편하게 되었있는데요. 같은 링크를 스마트폰같은 모바일기기로 접속을 하게되면 .


아래와 같이 서비스 화면이 달라집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외환을 선택하고,  살때(Buy), 팔때(Sell)을 골라주고  [비교하기]버튼을 누르면,



위 처럼 은행별 실시간 환율을 보여줍니다.  

모바일에서는 아직 환율쿠폰적용의 경우까지는 없는데.  대신 수수료가 보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할인 퍼센트를 따져보면 됩니다. 

예를 들어 수수료가 2만원일때, 환전할인 쿠폰이 50%가 있다면, 수수료가 1만원으로 줄어드는 것이죠.


여행전 환전하기에 앞서 은행별 환전수수료등을 비교하여 보다 경제적인 여행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트립위허 환전비교서비스 바로가기 링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