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KB국민카드, 롯데카드, NH 농협카드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다는 뉴스를 듣고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 유출여부를 확인해 봤더니. 


세곳 모두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어있었다.


나뿐만 아니라 아내것 역시 마찬가지였다. 


아래는 각 카드사의 유출내역 조회화면 이다.






롯데카드는 주민번호, 카드번호를 비롯 모든 연락처가 유출되었다.





농협은  카드번호에 유효기간, 카드정보, 신용한도및 연소득도 포함되었다.






KB국민카드는 주민번호, 이용실적, 신용등급등이 유출되었다.



  3사 모두 주민번호는 공통적으로 털린셈.  카드번호야 교체발급을 받으면 된다고 하지만, 주민등록번호는 재발급도 안되는항목인데다. 금융기관에서는 주민등록번호가 개인인증번호로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사용될 수 밖에 없는 고유식별번호이기때문에 참으로 황당한 상황이다.


유출된 원본은 회수했다고, 추가 유통되지 않았다고 하는데.  믿을 수 있을지...


신용카드사의 신용은 이미 떨어질데로 떨어진게 아닌지..


주민번호를 악용하는 명의도용방지 서비스라도 무료제공해주길 바래보지만 아직은 SMS통지 서비스만 제공할 예정인가보다.


결국 피해자 개개인의 부담이라는 얘기인데,  사실 명의 도용방지도  한곳만 가입해서 될게 아니다.  명의인증시 사용하는 신용정보조회기관별로 각각의 인증경로를 가져가고 있기 때문에 명의도용방지 서비스도 최소 2곳이상은 가입해 두어야 한다.


  현재 개인적으로 가입되어있는 곳은 아래 2곳인데. NICE평가정보(www.creditbank.co.kr 크레딧뱅크)와 서울신용평가(사이렌24 www.siren24.com) 인데, 다행이  아직까지는 주민번호가 도용된 기록은 없다. 


이번에 문제를 일으킨 직원 회사(KCB)가 있는데, 이곳에서도 명의도용방지 서비스(올크레딧을) 제공중이나  이곳에는 가입이 안되어있다.   적어도 이 회사에서는 카드사에서 비용을 들이더라도 무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게 아닌가 싶다.


아니 이번기회에 이렇게 각각 가입해야 하는 명의도용방지를 정부 차원에서 하나로 통합해서 무료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당국은, 소위 이런 신용정보기관이라는 곳에서  개인정보 유출을 빌미로 이런서비스로 돈벌이를 한다는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지난주에 타잔 개봉한 주에  극장에  4D를 처음으로 보러갔습니다.   놀이공원등에서 4D 경험은 있는데. 


   극장에서 4D경험은 없어서 기대반 우려반이었네요.


영화내용은 대략아는 내용이기에 4D 자체에 기대를 보러갔었고,, 여기서는 4D부분만 얘기할까합니다.



좌석정하기 


  집에서 가까운 4D 상영관은 동수원 CGV ,  예매는 CGV 온라인으로 예매를 했고 예매과정에서 자리를 지정하게 되는데 아래와 같더군요.



CGV.CO.KR 예매화면


캡춰한 화면에 제가 파란색 박스와 빨간색 박스를 그려넣는데,  파란색 부분은 CGV에서 Prime Zone이라고 하는 부분입니다. 화면왼쪽 설명에 보이듯 "최적의 영상과 사운드로 영화를 감상할수 있는 CGV 추천좌석"이라고 되어있죠.   그런데 막상에 가서 제가느낀것은  빨간색 박스 부분이 좋아 보였습니다. 


특히나 개인적인 취향인지는 몰라도  3D 화면인경우에는 좌우시야 끝에 스크린이 꽉차야 실제 느낌이 사는데, 그렇지 않고 스크린 이후 극장 벽면이 보여 버리면... 튀어나오는 돌출 화면등에서 실제같은 느낌이 안나고.. 액자느낌때문에 반감이 된다는 생각이거든요... 그런의미로 보면 빨간색 부분 맨 앞쪽에 오히려 제일 BEST 자리라고 생각됩니다.  


어째든 좌석은 그렇고... 



출처: CGV.CO.KR




4D일체감은?


그다음 4D 상영시 보여주는 일체감에 대한 부분입니다.   


  화면의 캐릭터가 움직이거나, 충격이 있거나 할때 제공되는 진동이나 좌우움직임이 있었는데.


     같이 갔던 가족 4명 모두...  어색하다는 의견이었습니다.  화면 움직임과 엇박자 이거나.  간접적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화면흐름상 주인공이 관객은 아닌데 화면의 캐릭터가 느끼는걸 관객에게 비슷하게 전달만 하는것 같은거죠.  3인칭 뷰에 1인칭 의자 움직임은 뭔가 안맞는거죠. 


이것은 아마도 놀이공원같은데서 보여주는 4D 처럼, 영화 제작시점부터 4D를 고려한게 아닌 , 국내에 들어와서 다시 화면에 맞춰서 억지로 끼워넣은 느낌이었습니다.


그나마 조조로 봐서 좀 덜 비싸게 봐서 다행이긴한데.. 4D 제값(1인당 1만8천원)을  다주고 보면... 돈이 너무 아까울것 같다는 생각이드네요.




전체적인 타잔4D에서 느꼈던  CGV 4DX 평점은  5점 만점에 ...  2점 정도 줄만한것 같네요.





  몰디브 숙소를 현지에 있는 에이전트나 해당 호텔에 직접 예약을 하게되는 경우에는 결제방법을 어떻게 할것인지를 묻더군요..


   1) 먼저 카드 결제 입니다.

      카드 결제인 경우에는 실 비용에  +  3.5% 를 숙소측 요구는 추가 결제해야 한다더군요.  그런데 이것은 받는 쪽 수수료만 생각한것이고, 실제 카드외환결제를 한 입장에서는 나중에 카드사 수수료를 또 이중(국내카드사, VISA나 Master 카드사 수수료까지)으로 물어야 하는 , 그래서 총 3중 수수료가 들기 때문에  제경우 여러명의 것을 한꺼번에 송금하다보니... 대략 숙박비가 500만원이 넘어가게 되면 대략의 수수료로만으로 30~40만원정도는 가뿐하게 나옵니다.  이뿐 아니라, 카드외환결제인경우에는 매입환율을 적용할때도 은행송금에 비해서 비싸게 느껴졌습니다.   



   2) 두번째는 현지로 은행계좌로 송금하는 것입니다.

      이는 은행별 수수료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제가 보냈던 몰디브의 경우 받는쪽 $45 고정수수료,  보내는 쪽은 가장저렴한 국민은행인 경우 5천원만 추가로 하면되기 때문에 다해서 5만원정도의 수수료만 든다는 것입니다.  다만 단점이라면 ,  아무래도 처음 거래하는 경우 현금을 보내는것이기에 불안하다는점입니다. 또 나중에 환불 요청이나 문제제기 할때 카드보다는 불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렇게 2가지 방법에서 고민을 하다가 결국 처음으로 직접 외환 송금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송금할때 사용할 계좌는 일반 보통예금통장에서 바로 송신이 가능했습니다.



다음은 송금진행하면서 캡춰한 화면과 설명입니다.



- 국민은행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송금-> 해외송금 메뉴가 있습니다.



- 송금종류는  [증빙서류 미제출 송금]으로 선택했습니다.   소액송금은 1천달러 미만에만 해당이 되기때문입니다.

[증빙서류 미제출 송금] 선택시 최초한번은 외화송금계좌로 지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과정이 하루정도 소요될 수 도 있습니다.  등록되기전까지는 해당 항목이 선택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송금사유로는 용역및서비스 대금으로 선택했구요.(캡춰화면에는 물품대금으로 되어있는데 이 역시 가능은 할것 같습니다.)



제 경우 대행사에서 인보이스(Invoice)를 받을때 입금계좌정보를 받았는데 받은내용을 그대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Kindly remit the full amount to:

Beneficiary A/c Name: ISLAND VOYAGE Pvt. Ltd.

Beneficiary A/c No: 6320020570

Beneficiary Bank Name: BANK OF CEYLON, Male’ Branch

Bank Address : 11, Boduthakurufaanu Magu,Male'

20094, Republic of Maldives

Bank Swift Code: BCEYMVMV

Correspondent Bank: JP Morgan Chase Bank, New York,

USA

Correspondent Bank Code: CHASUS33

=======================================================


대략 내용을 살펴보면 최종목적지는 몰디브 말레 은행이기는 하나 중간에  미국 뉴욕의 JP 모건 뱅크를 거쳐가는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다 보니 실제 송금 후 최종 수령자가 받는데까지 2~3일 정도 걸리더군요.



어째든 위와 같은 계좌로 요구를 받았었는데  실제 입력은 아래와 같이 했습니다.



수취은행 BIC코드를 입력할때는 수취은행명과 수취은행주소는 입력이 안되 비어두게 되구요,  


수취은행코드 입력부분에서 좀 헷갈렸었는데, 최종 계좌가 몰디브라서  'NONE' 으로 입력했습니다. 



그리고 받는쪽 전화번호 넣어주고요.




입력한 내용 확인



이렇게 하고나니 전신료 5천원만 추가 되고 송금이 끝나더군요,  아래 최종 내역입니다.




 중계수수료는 첨부터 해당 업체에서 인보이스(Invoice) 보낼때 $45를 추가해서 입금하라고 왔었기때문에 이미 송금액에 포함되어있어, 중계수수료는 수취인 부담으로 했습니다.  여기서는 송신을 위한 수수료로는  전신료 5천원만 들었습니다.


이렇게 송금하고 나면 [송금 Cable 원문조회]라는걸 할 수 있는데.  이를 그대로 파일로 내려받아 해당 수신처에 메일로 보내 송금증명서로 활용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업체로 부터 바우처까지 수령하고 잘 다녀왔네요.


 외화송금이 막상 하고나면 사실 별것 없는데, 말그대로 머나먼 타국에 모르는 사람에게 돈을 보내는 것인지라, 해보기 전에는 괜시리 염려되는 부분이 있었는데, 혹시나 비슷한 고민을 하시는 분들을 위해 공유해 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