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의 갤럽시탭의 경쟁력확보를 위해 부쩍 애쓰는 모습입니다. 국내에선  아이나비 3D 내비게이션 앱을 포함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외국 소식에선 GameLoft 의 아이폰용으로 출시했던 게임앱을 갤럭시 탭용으로 포팅한다는 소식입니다.  

 GameLoft는 삼성스토어및  티스토어를 통해 무료로 제공되는 인기게임인 아스팔트5 게임을 제작한 회사입니다. 이러한 인연에서 인지 GameLoft 에 다른 게임들을 갤럭시탭에 특화하여 HD 버전으로 개발했거나 할계획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아스팔트5, N.O.V.A, 렛트골프(Let's Golf) 게임을 모두 갤럭시탭을 위해 포팅하였습니다.  갤럭시탭에는 안드로이드 마켓이 들어있기는 하지만 갤럭시 탭의 해상도가 기존의 표준 안드로이드 디바이스규격에는 포함되지 않는 1024x600을 채용하고 있어 안드로이드용 앱중 게임부분에 있어서는 이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동작은 되더라도 갤럭시탭만의 고해상도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해상도의 게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청을 삼성이 하게된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이 이렇게 갤럭시 탭의 컨텐츠 확보에 많은 노력을 보이는것은 애플의 아이패드에 비해 하드웨어적으로는 충분히 경쟁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결정적으로 아이패드가 확보한 다양한 앱에 비해 안드로이드마켓은 아직 스마트폰 위주로만 되어있다보니 애플리케이션 열세가 가장 큰 단점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 책을 마련하는것으로 보입니다.

아래는  GameLoft 가 제작한 갤럭시탭용 게임 실행 동영상입니다.



그리고 영상중에 소개된 앞으로 포팅될 게임들입니다.



사실 갤럭시탭은 안드로이드OS의 태블릿을 위한  구글의 공식적인 지원없이 시장에 출시되는 모델입니다. IFA 2010 에서 삼성은 갤럭시탭 차기버전에 허니콤을 적용해서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이 준비 작업에는 구글과 긴밀한 협조를 할것이라는 내용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노력(?)하는 삼성모습은 좋아보이긴 합니다만 독자적으로 출시되는 갤럭시탭이 앞으로  어떻게 방향을 잡아 나아갈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 이 제품이 소비자들에게 권한 만한것인지는 잘 판단이 서지 않을것 같습니다.



 올해 휴대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에 대한 뉴스 기사들은 보았었는데 아이폰에서도 이러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악세서리가 등장했군요.


구성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맨 왼쪽부터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는 매트와 가운데는 아이폰에 연결하여 무선으로 전달받은 전기를 아이폰에 보내는 리시버 케이스 입니다. 



평상시 리시버케이스를 씌워둔 상태로 사용하다가 파워매트위에 올려놓게 되면 유도 전류를 통해 충전이되는 것입니다.

케이블 연결을 하기위에 꼽았다 빼는 불편을 줄여주어 수시 충전을 하기 편리하도록 만들어주는 것이죠.

 이 제품은 현재 http://www.powermat.com/us/pick-a-bundled-solution/powermat-wireless-charging-system-for-iphone-4r.html  에서 판매중이며 가격은 $59.99 우리돈으로 6만7천원가량합니다.


 다음 아이폰5에서는 리시버를 내장하여 무선충전 방식으로 바뀌면 어떨까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최근 아이팟터치4가 출시되었죠. 아이폰4와 같은 프로세서와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면서도 얇은 디자인으로 유혹하고 있습니다. 아이폰4와 차이점이라면 스틸이미지 촬영화소수가 적고, GPS가 없고, RAM이 적습니다.(관련글 보기) 그리고 휴대폰폰이 아니기 때문에 이동통신사를 통한 전화나 데이터통신이 안됩니다. 순전히 WiFi가 되는 곳에서만 인터넷이 가능합니다.




  아이팟터치의  이러한 데이터통신의 한계점 때문에 에그2 라는 와이브로를 WiFi 로 공유해도록 해주는 단말기인 에그와의 조합이 기대됩니다.  실제로 이미 이전의 아이팟터치 모델에서도 에그를 이용한 활용한 예는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 때문인지 최근 KT에서는 아이팟터치4를 와이브로 가입자 확대를 위한 조합 상품으로 만들었는데 꽤나 솔깃합니다. 그래서 한번 따져 볼까합니다. 얼마나 비용에 차이가 있는지.


  우선 애플의 공식적인 아이팟터치 가격은 8GB 31만9천원이고 32GB경의 42만9천원으로11만원가량 차이가 납니다.  가격 비교 사이트를 통해서 알아보더라도 애플의 정책때문인지 공식 가격 그대로 받고 있습니다. 약간의 사은품정도가 차이가 있을 뿐이죠.


아래는 Wibro 가입시 조건입니다.

월 50G 사용량 상품인 월 2만7천원 요금제 가입시 24개월 사용계약을 하게 되면 아이팟터치8GB 모델과 에그2를 제공하고 36개월 약정을 하게 되면 32GB 모델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해서 가입한 경우 8GB 모델의 원래 제품가격을 뺀 차액이 32만9천원으로  24개월로 나눠보면 와이브로를 월평균 1만3천7백원으로 와이브로를 사용한 셈이 됩니다.

 두번째 32GB 모델인 경우에는 같은 방법으로 36개월을 나눠보면 월평균 1만5천원으로 와이브로를 사용한게 됩니다. 실질 금액상으로 보면 개월수는 36개월로 늘어나지만 와이브로 이용액은 1천3백원 비싼 셈입니다. 둘 간에 차액도  21만원이 넘어 원래 제품차액인 11만원 보다도 10만원이 많습니다.  

  그래서 정리하면 8GB 모델이 계약조건상으로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앞서 가격비교에서는  에그2의 가격이 빠져있습니다. 에그2만 따로 가격을 유추하기 쉽지는 않지만 대략 12개월 약정이상을 할경우에 무료 지급을 하기때문에 이부분에 대한 헤택도 사실 고려 해야 합니다만 우리의 목표는 아이팟터치 4 이므로...)


   어째든 비용을 정리해 보면 24개월가입 기준 아이팟터치 4세대의 8GB 모델의 2배가격을 주고 사는 셈이라 와이브로가 실제 필요한 경우에만  결합 상품을 구입을 하는 것이 현명해 보입니다.  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사용량이 많지 않거나 혼자 자취해서 사용량이 적은 경우등 가정에 가입한  인터넷을 해지하고 와이브로를 이용해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면 꽤 괜찮은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월 1만4천원 안되는 비용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셈이 되니까요. 또는 필요에 의해 이미 와이브로를 사용중이라면 남은 약정기간 조건등을 확인해보고 해지 재가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KT는 애플의 아이폰으로는 이동전화 가입자를  아이팟터치로는 와이브로 가입자 유치에 활용하는 모습입니다.  소비자들에게는 선택의 폭이 넓어 지는 것이므로 나쁠것은 없지만 현명하게 따져 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지금 글쓰는 즈음에는 "아이팟터치  와이브로 가입"으로 검색을 하면 가입처에서 해당 상품을 내린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팟터치4의 수급문제가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상품에 관심있으신 분은 지켜 보다가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아이폰에 있는 비밀번호 잠금기능이 긴급전화 기능을 통화 어이없게 뚤리는 버그가 발견되었습니다.
 
관련글들에서는 iOS4.1 의 문제라지만 제 폰은 iOS4.0  상태인데 역시 같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아래는 제가 직접 시연해본 영상입니다.




방법은 아무 번호나 누르고 통화버튼을 누르자 마자 우측 상단의 Lock(잠금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화면상에서는 가상으로 만든 연락처입니다만, 이렇게 풀리고 나면 최종적으로 전화기능에서 사용했던 화면이 보이고, 연락처 목록까지도 볼 수 있습니다. 내용보기 까지는 안되지만 이름들을 살펴볼 수 있으며 만일 연락처 상세보기 상태에서 잠겼다면(위 화면처럼) 상세 내용도 볼 수 있습니다.

별것 아니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조금 어이없는 수준의 버그라 좀 안타깝(?) 습니다.

그리고 루머에 따르면 4.2 Beta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는 것으로 보아 현재 4.x 모두에서 발생되는것으로 보입니다.

애플의 긴급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10월 19일 있었던 코트라(KOTRA) 주관 [글로벌 스마트앱 컨퍼런스 및 상담회] 에서 진행된 내용중 구글 코리아에서 최근의 안드로이드 시장에 대한 현황을 설명하고 안드로이드 마켓에 등록하는 절차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이폰으로 찍다보니 화면거리가 좀 있고  (옆자리) 잡음이 좀 있습니만.  소리 위주로 들어보시면 필요하신분께는 도움이 될듯하여 올려 봅니다.

첫번째 영상입니다. (14분가량입니다.)


두번째 영상입니다.



코트라에서 이러한 자리를 마련한것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이날 중기청에서도 나와서 지원에 대한 설명을 해주셨고, 1인기업 성공사례를 위해 코코아박스 나와서 설명을 해주었는데요. 일부 아쉬운 점은 있었으나 취지나 내용면에서는 대체로 좋았습니다.

앞으로도 정부차원에서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리들을 많이 만들어 주었으면 하는 기대를 해봅니다.
 시냅틱스는 대부분의 노트북에서 기본으로 포함하고 있는 터치패드에 대한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회사입니다. 터치패드이전에는 트랙볼을 노트북에 장착했었지만 시냅틱스의 터치패드를 노트북에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부터는 노트북에서 트랙볼은 사라진 기술이 되었습니다.

   시냅틱스가 스마트폰에서도 비슷한 입력장치 혁명을 일으킬지도 모르겠습니다.  최근(10월 13일 수요일) 시냅틱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폰7 에서 직접 OS 차원에서 클리어패드(ClearPad)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원문글 보기)

 시냅틱스의 클리어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정전식 터치 센서 패널을 말합니다. 세계최초의 클리어 정전식 터치 스크린 센서도 바로 시냅틱스의 클리어패드 입니다. 그리고 클리어패드(싱글터치)를 처음 적용했던 휴대전화는 2006년 LG의 프라다폰(KE850) 이었습니다.

출처: 시냅틱스, ClearPad 3000



   클리어패드는 1000,2000,3000 시리즈로 발표되었고 작년에 발표된 3000시리즈는 10개의 손가락 터치까지 정확히 추적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이에따라 기존의 2~3개의 동시터치에 머물렀던 멀티터치에서 보다 다양한 제스쳐를 감지하여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것으로 기대되고있는데요. 이 기술이 MS의 새로운 스마트폰OS인 윈도우폰7에서 직접 지원할것이라는 겁니다. 

스마트폰위에 클리어패드 패널적용



   윈도우폰7 스마트폰 OS는 MS가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첫 OS 이나, 경쟁사의  iOS나 안드로이드 보다 한발 늦게 시장에 진입하면서 사실 기능적 차별화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배경에서인지 시냅틱스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보다더 진보된 멀티터치 기술로 경쟁하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아래는 클리어패드 3000의 시연 영상입니다.


  영상에서 보면 처음 비밀번호 버튼을 세 손가락으로 동시에 터치하고, 다섯손가락을 동시에 움직이지만 추적의 끊김없이 완벽히 입력받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두회사의 협력이 적용된 윈도폰7OS가 적용된 제품은 아무래도  내년에나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국내에 윈도우폰7이 출시되는 시점에는 해당 기술이 적용된 단말기를 만져볼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어제 한국전자전 (KES2010)을 보러 킨텍스에 다녀왔습니다.  예전 코엑스에 하던시절에 가보고 몇년만인지 모르겠네요. 나름 여러가지 부푼(?) 기대를 안고 가봤는데 사실 그다지 볼것은 많지 않더군요. 삼성 갤럭시탭을 혹시 볼 수 있을까 했는데, 지금은 널리 보급된  갤럭시S만 잔뜩 전시하고 있었고, 다행이도 LG 부스에서 윈도우폰7을 볼 수 있었습니다. 11일 뉴욕에서 MS 가 런칭행사에서 공개되었던 2가지 폰이어었습니다.


  먼저 LG의 대표작 옵티머스 7 입니다. 비교적 넓다는 느낌의 화면(3.8인치)에 얇은 두께가 말그대로 스마트한 느낌 입니다. 


다양한 각도에서 찍지는 못했는데 대신 전체적으로 만저보면서 동영상을 담았습니다. (관계자와 옆에 분이 질문 하는 음성등이 같이 담겨 있는데, 좀 시끄럽습니다. 화면만 보셔도 됩니다.)






   만지면서 느낀것은 대체로 상당히 빠르다는 느낌입니다.  반응속도도 빠르고 화면전개도 자연스럽고 세련된 느낌 입니다. 인터넷이 안되는 상황이라 웹브라우징 속도 테스트를 못해본게 상당히 아쉬운 점입니다. 윈도우폰7에 들어있는 MS office를 구동해보았는데. 멀티터치를 통한 확대 축소가 가능하기때문에 오피스 뷰어는 물론이고 어느정도 작업성도 있어 보였습니다.


두번째는 옵티머스  7Q 입니다. Quantum 이라는 모델과 같은 디자인이고 조금 도톰한 느낌으로 쿼티 자판을 내장하고 있어서 키입력이 편리합니다. 


7Q도 동영상을 찍었는데 손으로 가리고 찍는 바람에 올리지는 못합니다. ㅠㅠ,

다른 Hand-on 사진으로 대신합니다.


키보드가 내장되었다는 점이 입력을 자주하는 분들에게는 좋은 선택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전시장에서 만지면서 많은 분들이 하시는 질문이 "언제 출시 되나요?" 였습니다. 답변은 내년도에도 상반기는 어려울것 같다는 얘기었습니다.  저는 그러한 이유가 뭔지 궁금했는데, 한글화 문제같은 것은 아니고 MS의 정책적인 문제와 국내 현실적(제도적) 문제가 가  좀 있는 듯했습니다.

아래는 앞서 올린  윈도폰7 비교 글에서 넣었던 스펙자료 입니다.



다른 윈도우폰들의 스펙(10종)이 궁금하시면  http://funnylog.kr/260 글을 참고하세요.


  10월 11일 뉴욕에서 열린 마이크로소프트 오픈하우스행사에서는 많은 이들이 기다리던 윈도우폰7용 출시되는 주요 파트너사들의 9종 단말기들이 선보였습니다.


각 단말기들은 DELL, HTC, LG, SAMSUNG 에서 만든것으로 같은 회사내에서도 유사 스펙이지만 출시되는 이동통신사에 따라 조금씩 디자인과 이름을 달리하여 출시될 예정입니다.

아래 이벤트에서 선보였던 폰들을 정리 해보았습니다. 각 제품별 사진과 비교 스펙입니다.

먼저 LG,삼성,델  5종 사진입니다.

1. 엘지 옵티머스 7 (LG Optimus 7)
 예전에 옵티머스7에 키보드가 있는것으로 알려졌었는데 최종 공개된 모습에서는 7Q/Quantum 모델에 키보드가 있고 7 모델에는 없습니다.

2. 엘지 옵티머스 7Q/퀀텀( LG Optimus Quantum)
  슬라이드 쿼티 자판을 갖고 있습니다.



3. 삼성 포커스(Samsung Focus)
  삼성 제품은 모두 슈퍼 아몰레드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대체로 두께가 얇고 가볍습니다.
  안드로이드폰인  갤럭시S와 같은 두께의 9.9mm 를 자랑합니다.



4. 삼성 옴니아7 (Samsung Omnia 7)
  역시 슈퍼아몰레드를 채용했습니다. 



5. 델 베뉴 프로(Dell Venue Pro)
  델의 야심작입니다. 독특하게 세로형 쿼티 슬라이드 자판을 적용했습니다.


그리고 제품별 스펙 정리입니다.(클릭하시면 확대 이미지로 볼 수 있습니다.)

클릭시 확대 됩니다.



그리고 HTC 5종 입니다.
HTC 는 무려 5가지가 이번에 공식 선을 보였습니다.(이벤트 쇼 진행중에는 1개가 빠진듯합니다.)

6. HTC HD7


7. HTC 7 모짜르트(Mozart)


8. HTC Surround
슬라이드 방식의 스피커를 채용하여 음향에 보다 특별히 신경쓴 모델 입니다.


9. HTC 트로피(Trophy)


10. HTC 7 Pro
HTC 제품중 유일하게 쿼티 자판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 HTC제품의 스펙 비교 입니다.

클릭시 확대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11일 선보인 윈도우폰7 용 단말기들은 대체로 비슷한 스펙을 갖고 있습니다. 약속한듯 모두 퀄컴 CPU(QSD 8250/8650)를 사용하고 있고 해상도는 모두 480x800 입니다.  이외에는 자판 유무, 카메라 해상도, 확장슬로 유무 정도가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MS의 기본 요구사항에 맞추다 보니 그런것 같습니다.)

 대체로 초기 출시폰들은  안드로이드폰과 비교하면 구글폰인 HTC의 넥서스원과 유사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초기에 시장에서는 MS의 요구사항에 대체로 맞춰 무난한 스펙으로 가는 것같고, 실제 윈도우폰7 시장이 달궈지게 되면 이들 제조사들간에 스펙경쟁 또한 치열해지지 않을까 생각 해봅니다.

  10월 11일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픈하우스(Microsoft Open House) 행사에서 윈도우폰7을 공식 런칭할것이라는 소식입니다.

   아래는 MS 가 참석자들에서 발송한 초대장중 하나 입니다.




이날 행사는 동부시각 기준 AT&T 참여하는 오전행사로 9:30분에(우리나라시각 11일 밤 10시30분) 진행되고  오후는 T모바일 초청으로 오후 3시 (우리나라  12일 새벽 4시)에 진행됩니다.


행사에는 MS의 회장 스티브 발머와 AT&T CEO 인 Ralph de la Vega 도 키노트 발표차 참석예정입니다.

이 행사에서는 실제 윈도우폰7 단말기들이 공식 첫선을 보이는 행사가 될것으로 보이고 이중 HTC 의 HD7 이 등장할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국내에는 LG의 옵티머스7(Optimus 7 E900)이   삼성은 옴니아 7 (GT-i8700) 단말기가 해당 행사에 선보일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HTC HD7



삼성 옴니아7 으로 알려진 GT-i8700
01


LG 옵티머스 7

01



  현재  윈도우폰7 용 단말기는 유럽과 북미쪽에 먼저 출시가 되며 국내에는 내년 상반기도 어렵다는 얘기가 있습니다만 국내에도 이런 예상보다는  빠른 출시를 기대해 봅니다.


  MS가  윈도우폰7이 출시를 앞두고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홀리데이 시즌에는 대작게임들도 발표할것이라고 하고, 다양한 하드웨어 제조사들도 윈도우폰7  OS를 적용할것이라는 발표를 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중에는 LG가 옵티머스7을 통해 가장먼저 세계시장에 내놓을것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기대 속에 윈도우폰7을 기다리는 사용자들도 많을것 같습니다.

 최근 10월 6일경에 MS의 쇼케이스(Show Case)동영상을 소개하는 사이트에  윈도우폰 Feature Show Case 로 3가지를 공개한 영상이 있어 소개 드려봅니다.



 소개 영상 첫번째는 스피치(Speech)  입니다.  아이폰의 음성명령(전화걸기, 음악듣기)나 구글의 안드로이폰에  음성검색을 연상하시면 됩니다. 윈도우폰7 에서는 아이폰의 기능과 안드로이드폰의 음성 웹 검색을 통합한 기능이라고 보면됩니다. 전화걸기, 앱 실행, 웹 검색을 통합하고 있습니다.

Get Microsoft Silverlight

두번째는 개인화 시작화면(Personalize Start)입니다.
시작화면은 홈스크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스마트폰 기본화면입니다. 이 부분을 윈도우즈 7 의 작업표시줄의 핀(Pin) 처럼 바탕화면에 자주쓰는 앱등을 단축아이콘으로 끌어다 놓는 기능입니다. iOS나 안드로이드폰에서 아이콘을 생성하는것과 유사합니다. 다만 이런 과정을 Pinning 이라는 이름으로 부릅니다. 앱은 물론 연락처, 지도, 동영상, 웹사이트 등을 Pin 아이콘을 터치해서 시작화면에 고정시켜놓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Get Microsoft Silverlight

아래는 윈도우즈 7의 작업표시줄 특정 프로그램 실행 중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자주 사용하는 파일을 공정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입니다. 이러한 핀 고정기능개념이 윈도우폰7 에도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윈도우7에서도 이 기능을 잘 활용하면 단순히 단축아이콘 보다 작업시간을 상당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세번째는 검색입니다.
애플의 iOS에서도 4.0 부터 강화되어 적용된 기능으로, MS의 윈도우폰7에서는 웹 영역까지 확장해서 검색해줍니다. 윈도우폰7 내에 저장된, 연락처나 메일 웹 등을 검색할때 항상 윈도우폰7 단말기에 있는 검색버튼을 눌러주면 일관되게 검색입력을 받게 됩니다. 여기에 Bing 검색과 연계하여 지역기반 웹 검색까지 확장되어 있습니다.

Get Microsoft Silverlight


  위 3가지 윈도우폰7의 Show Case 영상에서 보여주는 기능들은 사실 특별한 기능들은 아닙니다. 아이폰(iOS)이나 안드로이드 폰에 이미 적용되어 있는 기능들이나 차이점이 있다면 MS의 윈도우폰7에서는 이들을 보다  경계 없이 사용자가 접근하는 모든 영역으로 기능을 포괄적 확장했다는 점입니다.  웹과 폰내의 정보를 구별없이 통합적으로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것입니다.

  이상으로 가장 많이 쓰게될것으로 보이는 3가지 기능으로 쇼케이스를 살펴 보았습니다.

더불어 윈도우폰7이 최종 공개될때는 MS가 스마트폰OS의 대선배(?)격인 만큼 그들의 기술력에 감탄할 모습으로 공개되어지길 기대해 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