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8일 부로  기존 이동통신사인 유플러스와 KT 자회사가 기존  알뜰폰(MVNO) 서비스 사업을 개시했네요.


여기에서 눈여겨볼만한것은  유심 반값요금제 인것 같습니다.


유심반값요금제는 앞서 KT망을 이용하고 있는 CJ헬로우모바일에서 6월말까지 한정판매를 했었는데요, 방통위심의를 통해 계속 연장판매를 하게되었고, 마찬가지로 유플러스망을 이용하게되는 미디어로그 유모비,  KT망을 이용하는 케이티에스(KTIS)도 같은 반값 유심요금제를 출시했습니다.




바로 요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미디어로그 입니다. (유플러스망사용) http://www.umobi.co.kr/



그리고 케이티스 입니다. (KT망 사용) https://www.ktism.com



두회사 모두 약정없는 LTE21,26,31 요금제가 있고, 여기에 추가로 망내무제한 요금제가 있는데, 

KTIS는 기본제공량 줄인 1만8천원짜리요금제와 2만3천원짜리요금제로 좀더 저렴한 선택이 가능합니다. 대신 유모비는 기본제공량이 좀더 많네요.


 KTIS는 해당 반값유심요금제를 3G용으로도 판매합니다. 



이번 이통사 자회사의 MVNO(알뜰폰) 시장 출범을 가장 반기는 한가지는 유플러스 자회사인 미디어로그입니다.  SK나 KT 사용자인경우에는 해당 폰으로 양쪽 MVNO이동이 가능했으나,  유플러스(LGT) 는 사실상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었던것같습니다. 특히나  가장 부러웠던것 CJ헬로모바일의 반값 유심요금제였는데, 단말기가 KT혹은 SKT용만 가능하니까요,  그런데 이번에 미디어로그가  유모비라는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마찬가지로 반값 유심요금제가 가능해진거죠,  조만간 제 할부금이 끝날때쯤에 미디어로그로 이동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스카이스캐너가 일본에서 가봐야할 곳 추천 장소 8곳을 소개 했네요.  전자제품의 천국 일본의 수도 답게, 최신 첨단관련 체험을 할 수 있는 곳들을 주로 추천했는데, 소개된 내용에 약간의 설명을 가감해서 다시 정리해보았습니다.



1. 첫번째로 아키하바라 거리


  이 지역은 이미 전자상가 모여있어 관련 제품들이 많은 곳으로 익숙한곳인데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만화, 비디오 게임 관련 판매점들 많기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최신 전자제품 면세(1만엔 이상 구매시)를 받아 구매를 하고 , 다양한 게임들이 즐비한 오락실에 즐기는 재미도 있습니다.




출처: Danny Choo@flickr


출처: Danny Choo@flickr



2. 두번째는 도시바 사이언스뮤지엄 (Toshiba Science Museum 도시바과학관).


가와사키역 82번 정류장에서 버스를 타고 갈 수 있고 ,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기술발전의과정과 미래기술을 보여주는 곳입니다. 나노라이더 (행인 충돌 사고방지기술이 있는 자동차 )나 스크린터치로 제어가능한  스마트빌딩 같은것도 볼 수 있습니다.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10시~18시, 토/일/공휴일은 10시부터 19시까지 운영하고,  공휴일이 아닌 월요일은 쉽니다.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출처: Toshiba Science Museum (http://toshiba-mirai-kagakukan.jp/en/)





3. 세번째는 일본과학미래관(The National Museum of Emerging Science and Innovation).


도쿄지역내 인공섬 오다이바(Odaiba)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직접만져보고 즐길수 있는 상설전시, 기획전, 일상생활과학,최첨단기술, 지구환경, 우주탐구 같은 다양한 주제에 대해 체험해볼 수 있는 전시관입니다.  그 유명한 혼다의 휴머노이드 로봇 아시모가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오전 11시 부터 오후 2시사이에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가족여행등으로 같이 가도 좋을 것 같습니다.



출처: wikimedia



4. 첨단식당 (High-tech dining)


  일본식 회전초밥집은 이미 익숙하죠, 한국에도 많이 들어와 있구요, 여기에 도쿄는 요즘 태블릿 스크린 터치 이용해 주문을 하면 컨베어벨트를 이용해 바로 주문한 메뉴를 받아볼 수 있는 Sushiro 같은 식당이나. 기차길 모양의 식당안에서 모형기차로 음식이 자리까지 배달되는 서비스를 해주는 Niagara Curry 같은 식당이 있어 재미삼아 가볼만할것 같습니다. 



Niagara Curry 식당 주문 영상 입니다.



5. Kanda Myojin Shrine 간다묘진(神田明神) 신사  (구글지도위치 보기)

  일본은 토속신앙인 신도(神道)신앙에 의하 제각각 여러가지 일(?)을 하는 수호신을 모시는곳을 신사라 하는데, 아키하바라근처에 간다묘진이라는 재밌는 신사가 있습니다.  첨단의 도시 같기만 한 도쿄에, 나름 일본만의 문화를 느낄 만한 곳 인듯합니다.

  간다묘진은 남여인연을 맺어주고, 가정의 행복, 사업번창하도록 해주다는 신입니다. 에도시대부터 모셔왔다고 하는데요, 재밌는것은 근처에 아키하바라가 있다보니, 디지털 기기를 지켜주는 수호신 역할도 한다는 겁니다. 그래서 간다묘진신사에서는 컴퓨터바이러스나 고장, 개인정보유출방지에 도움이 된다는 부적을 판다고 합니다. 디지털기기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많이 온다는데 착안한 나름 대단한 상술인듯합니다. :)



간다묘진, 출처:wikimedia




간다묘진, IT정보안전수호 부적



 

 

6. Sony ExploraScience Museum  소니 익스플로러사이언스 과학관 (구글맵에서 보기)


 아이들이 좋아할만한 다양한 체험시설과 볼거리를 제공하는 소니가 운영하는 과학관입니다.

  3D 아쿠아리움같은 3D 볼거리가 인기 입니다.  


 



7. 첨단교통수단


유리카모메 (Yurikamome) : 무인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경전철.

운전사 없이 컴퓨터 제어시스템으로 움직이는 오다이바섬에 운행되는 경전철 입니다. 


신칸센 (high-speed bullet trains) : 일본고속철도

지금은 한국에도 있는 고속철의 모델이 후보중 하나였던 일본의 고속철입니다.  프랑스식 떼제배와 경쟁했었죠.  



출처: wikimedia



8. 파나소닉 센터 도쿄(Corporate Showroom Panasonic Center)  (구글맵에서 보기)

파나소닉에서 운영하는 과학관입니다. 

1층   Wonder Life-BOX 2020에서는 2020년 미래의 생활을 느껴볼 수 있고, 2층 닌텐도 게임프론트에서 최신의 게임을 파나소닉 대형TV화면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원문글 링크 

http://www.skyscanner.net/news/8-best-geek-things-see-and-do-tokyo?utm_source=twitter_uk&utm_medium=social&utm_content=CM_geek_tokyo&utm_campaign=article





야후에서 서비스하는 플리커(Flickr.com)는 사진을 위한 클라우드의 원조라고 할만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유료서비스를 이용한지 4년이 넘어가는것 같은데요, 작년부터는 무료서비스 이용자에게 1TB공간 제공은 물론 원본업로드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어서, 사실상 유료서비스를 이용할 이유가 없어진것 같습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Flickr 가 공식적인 스마트폰용 앱을 새로 업그레이드 해서 내놓으면서, 다른 클라우드 앱에서 제공하던 스마트폰사진 자동 업로드기능이 추가되면서, 이제 용량걱정없이 스마트폰 사진까지 백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도 Flickr 용 모바일 앱이 있기는 했으나 자동업로드 기능이 없다보니, 다른 유사 기능앱을 활용하는 방법밖에 없었는데, 야후 플리커에서 공식 제공하기 시작한거죠...  그런데  아직 좀 이상한것은   구글의 플레이스토어에서 검색기능으로는 찾을 수가 없네요. 다만 플리커 사이트에 들어가게되면 앱 다운로드 링크가 제공되고 있는데 플레이스토리 바로가기 링크는 아래 주소입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경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yahoo.mobile.client.android.flickr


애플 앱스토어 경로

https://itunes.apple.com/app/flickr/id328407587?ls=1&mt=8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후 실행을 하게 되면 .

(이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준입니다.)


플리커 사이트 처럼 공개된 사진이나, 팔로잉하고 있는 사용자의 새로운사진이 보여지네요.



여기서 메뉴 버튼을 누르고[설정]으로 들어가면 자동동기화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시 자동동기화에서 사진업로드 항목을 선택후  [Wi-Fi로만] 을 선택하거나 [모바일네트워크]까지 같이 하거나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앞으로 찍은 사진은 자동으로 업로드를 하게 되고, Flickr 사이트에 접속해보면, 포토스트림에서 확인을 할 수 있게됩니다.


화면 캡쳐인 경우에는 똑똑하게도(?) 자동 업로드가 되지 않는데, 업로드를 하고 싶을때에는 갤러리에서 공유기능을 이용해 Flick 앱을 선택해서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선택적으로 업로드 하고 싶을 때는 자동업로드 상단에 [꺼짐]으로 하면 되고, 갤러리 앱에서 선택후 수동으로 업로드 하면 됩니다.  수동업로드도 이전 앱에 비해서 많이 편해졌네요.



지금까지는 네이버N드라이브나 다음클라우드, 아니면 통신사별로 제공하는 웹디스크를 이용했었는데, 다들 제공공간에 상대적으로 한정적이다 보니 불편함이 있었는데, 플리커는 1TB 가량이나 제공을 하고 있어, 용량걱정을 거의 안해도 될거 같습니다.


============

참고글 추가 

2015 구글 포토 서비스 출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