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장소: 2013 년 5월 30일 10시~17시 ,  양재역 엘타워

컨퍼런스  만족도 : 좋았음.





요즘 임베디드 플렛폼에 대한 관심이 많던차에.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관하는 임베디드 SW 컨퍼런스에 다녀왔다.


  사실 작년인가 재작년인가?  정부기관 주최하는 SW 컨퍼런스를 갔었는데.. 그때도 정치인들 축사하고 나서 본 행사가 별로 실속이 없어 이번에도 별기대를 안했었는데.. 기대를 안해서일까...  이번에 내용이 참 좋았던것 같다.





가장괜찮았던 순서대로 정리해보면 (Track A를 들은 본인 기준)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 임베디드 플랫폼 전략(한성대 이민석 교수)  


-  일단 많은 SW 개발자들이 궁금해하고 꼭 알아야할 오픈 소스 라이센스에 대한 부분을 상세히 다루어 주었고, 오픈소스를 바라볼 우리의 자세와.. 전략적 접근 방법에 대해서 얘기를 해주어..  듣는 동안 여러가지 영감(?)을 주었던것 같다.  앞으로 회사에서 할 계획중 몇가지는 오픈소스로 진행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듬.  평점 4.9점  (5점만점 기준)


WebOS for Smart Devices (LG전자 홍성표 연구위원)  

 - 사실 강사 전달은 감동(?)적이진 않았는데.   WebOS에 대해서 관심이 생기는 기회가 되었다.  올해 2월에  LG전자가 HP로 부터 WebOS 를 인수한 일은 알고있었고 그때는  삼성따라 OS좀 확보해보려는건가 싶었는데.   근데  WebOS가 오픈소스(아파치 라이센스  http://www.openwebos.org)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고,  내부 아키텍처를 보아하니 Runa 버스구조에  특히나. 요즘내가 잘쓰는 Qt5 기반이라는점과 Node.js 를 포팅하고 있고,  최근 급 관심을 같게된 OpenEmbedded Build 와  Yocta Project BSP 까지 아우르고 있어.  이거.. 임베디드용으로 딱일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게 해주었다.  평점 4점


스마트 디바이스 기술현황 및 전망 (삼성전자 서상범 상무)

- 삼성전자 SW 랩이 하는 일이 뭔가 살짝 알게되었는데..  요즘 Tizen 관련해서 일을 하시는분 같았다.  Tizen 에 대해서는 처음알게 되었는데.  삼성전자가 새롭게 적극 참여하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인데.  해당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SDK가 오픈소스가 아니고, 라이센스도 복잡한 상황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그냥 삼성전자가 안드로이드에 대한 대안으로 준비하는 스마트폰용 OS일 뿐인듯해서.  Tizen 자체를 어디가 가져다 쓸것은 못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강의 초반에 스마트에 대한 정의의 고찰을 해보게 해서.  대체로 괜찮았긴 했는데.. 강의자료가 자료집에 미리 준비 안되있어 준비성 부족으로 -0.5 점 그래서  평점 3.5 점



임베디드SW 정책동향 ( 산업통상자원부 김정일 전자부품과장) 

-  과장님이 말씀을 빠르게 하신덕분에...점심 시작시간이 애매해지긴 했는데.(그래도 지루한시간이 좀 줄어서 좋았음) 

중소기업들이 임베디드 프로젝트를 기획하면서 정부지원을 받고자 하는경우에 알아두면 좋을것들을 얘기해서 나름 유익(?) 할듯. 평점 3.5점


그리고 나머지 한분.  요번 해양수산부장관 되신분이 떠올랐었음. 


   전체적으로 컨퍼런스  유익했음.   장소도 맘에 들었고.  내년에도 기대해 볼텐데...  정부 연구기관 강사들은 좀더 쓸만한 얘기를 들고 왔음 좋겠다는생각.(자신들 실적발표하지 마시고...)  최근에는  대학교수님들들 통해 오히려 현실적인  유익한 강의를 들은적이 많은듯 하다.


아 그리고.... 정치인과 그 주변인 축사는 좀 뺐으면.  주최가 정부기관에서 하는거라 이해는 하지만.. 쓸데없이 오전시간 낭비한다는 생각이 듬.   



   요즘은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을 다녀도,  직장에서 신입을 지나 대리가되고 과장이되고 부장이 되어도 공부를 계속해야만 하는 시대인것 같습니다.




 그런데 시간은 항상  부족한것 같습니다.  틈나는데로 출퇴근시간이나 점심시간등 짬나는 시간에 조금씩 공부하려면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이 좋아보여 제가 공부할때 사용했던 인터넷 강의 사이트를 소개 해 봅니다.


휴넷 상상마루 입니다. >> 바로가기 링크


직장인들에게 꼭 필요한 강의들만 모아놨습니다.  

큰 카테고리 (OA&외국어, 전문직무,컬처&라이프,리더십,비즈니스 스킬,비즈 특장)과 중분류가 있고 다시세 세부 내용으로 들어가면 많은 강의 들이 있습니다.  


개별강의 별로 신청해서 수강할 수 도 있고,  기간회원으로 가입하면 보다 저렴하게 여러가지 강의를 들을 수 도 있습니다.  휴넷의 상상마루 세부 강의 전체를 다합치면 5800개 정도된다고 합니다.



 저 같은경우에는  생산/품질관련해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하던업무가 직접적으로 품질관리 관련된 직무가 아니다보니 이론적으로 모르는게 많았는데.  인터넷으로 공부를 하다보니 단순히 제품 품질을 위한 이론이 아닌 다양한곳에 널리 사용할수 있는 좋은 방법론들이 많이 보이더군요. 시간이 되면 괜찮았던 내용들만 정리해볼까 합니다.





(수강화면의 예, 식스 시그마 강의 수강중 화면 - 김연성 교수님)


위에는 인터넷 강의를 보던중 캡쳐해본 화면입니다.  전체화면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플레이속도를 조절해서 볼수도 있기때문에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복습하기에도 편리합니다.


강의들은 너무 지루하지 않도록 10~20분정도 강의가 많아 크게 부담스럽지 않게 잠깐씩 듣기에 좋습니다.


현재 휴넷상상마루 이벤트기간이라. 이전보다 저렴한가격으로 기간제 수강을 하기에 좋은것같습니다.



   요즘은  외국어는 물론이고  이전에 배웠던 지식도 시대에 맞게 다시 새로운 정보나 경향을 익혀야 겨우겨우 시대에 발 맞춘다는 느낌입니다.   자신이 하고 있는 업무에 관해서는 나름 달인 혹은 전문가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지만 어느날 보면 새로운 방식으로 인해 기존에 내가 하고 있던것이 완전히 다른방식으로 (경쟁할 필요도 없이)대체되버리는 경우도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러한 변화가 서서히 일어나다 보니 잘 느끼지 못하고 있다가 갑작스런 변화로느껴질때는 적응하기가 힘들어집니다. 


 책을 보는것도 좋고 오프라인 세미나도 좋지만.. 조금씩 시간을 내서 체계적인 공부를 인터넷으로 하는것도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QT 5.0.2 로 업그레이드 하고 아직 프로젝트에는 적용해보진 못하고 테스트 중인 상태인데.  


QT Installer 1.3  버그때문에  QT Installer를 다시 빌드하려고 하다보니.


 먼저  QT 5.0.2를 소스를 가져다 빌드를 했다.


   QT는 상용 라이센스와 LGPL 라이센스를 적용하고있는데.  LGPL라이센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DLL링크만 허용하고 있어 Static 빌드 Library를 쓸일이 없지만 .  QT Installer 는 LGPL 라이센스 이면서 QT Library를  Static Build가 되어있는 구조라 QT Installer 를 재빌드 하려면 어쩔수 없이 QT를 Static Build 한뒤에 QT Installer 를 빌드해야 해서.  이런 상황이 된다.  (인스톨러 특성상 하나의 실행파일로 떨어져야 하기때문에...)


어째든 QT SDK 5.0.2 를 빌드하려고 하는데.  오픈소스 빌드가 그러하듯 수차례... 빌드 실패 후 겨우 성공하게 되서 정리해 본다.


먼저 필요한 것들 정리하기


1. Perl 설치 

   기존설치된 Perl이 없다면  

ActivePerl http://www.activestate.com/activeperl/downloads  에서 (x64버전) 다운로드 설치


2. Python 설치

   V8.lib를 빌드하기 위해서는 python 이 필요하다.  

ActivePython http://www.activestate.com/activepython/downloads  에서 다운로드(2.7.x x64버전 ) 설치 



1. OpenSSL static 빌드 준비

    2.1  OpenSSL  Library Source

         http://www.openssl.org/source/openssl-1.0.1e.tar.gz

         압축해제 경로 - > C:\DEVTOOL\qt5build\openssl-1.0.1e_src


    2.2  nasm 어셈블러 

   http://www.nasm.us/ 에서 다운로드 링크로 가서 최신버전 다운로드

 여기서는 아래 링크의 zip 파일을 내려받음

         http://www.nasm.us/pub/nasm/releasebuilds/2.10.07/win32/nasm-2.10.07-win32.zip

  

        다운로드 받아 압축해제 

                   설치경로-->C:\DEVTOOL\qt5build\nasm-2.10.07


    2.3 OpenSSL 빌드하기 

         2.3.1 MSVC 2012 용 x86 네이티브 도구 명령 프롬프트 실행


         2.3.2 NASM 경로 PATH 추가

                   SET PATH=%PATH%;C:\DEVTOOL\qt5build\nasm-2.10.07


         2.3.3 configure 실행   (C:\=C:\DEVTOOL\libs\openssl 경로에 설치시)

                  > CD C:\DEVTOOL\qt5build\openssl-1.0.1e_src

                  > perl Configure VC-WIN32 --prefix=C:\DEVTOOL\libs\openssl -MT

                  > ms\do_nasm

         2.3.4 빌드 및 설치

                  > nmake -f ms\nt.mak

> nmake -f ms\nt.mak test

                  > nmake -f ms\nt.mak install 


        2.3.5 설치결과확인
                  C:\DEVTOOL\libs\openssl



2. ICU static Build


빌드 방법은 2가지 인데.. Cygwin 환경에서 빌드하는경우 MSVC 2008 이하에 대해서


   ICU 는 기본적으로 바이너리는 동적 빌드 버전만 제공하고 있어서 static 빌드를 하려면 소스를 내려 받아 새로 빌드 해야함.

http://www.npcglib.org/~stathis/blog/2012/06/17/windows-task-build-the-icu-library-for-32-bit-and-64-bit/


위 링크에 가면 .bat 파일로 빌드하기 편하게 만들어놓은 배치파일이 있음. 이를 활용하면 되는데. Cygwin은 별도로 받아서 설치가 필요하다. (해당 페이지에있는 Portable Cygwin은 구버전이라 설치 되지 않았다.)


MSVC2010 이상이면  MSVC에서 

 <ICU>\source\allinone\allinone.sln   (솔루션)파일을 열어 원하는 형식으로 빌드해주면 간단히 끝난다.





3. QT 5.0.2 SDK 소스 다운로드및  MSVC2012 준비 하기  

   소스 리파지토리에서 Git  clone으로 받을 수 도 있겠지만. 확인해보지 못했고,

   윈도우용 QT SDK를 빌드하려면  아래 경로에서 받은 소스파일 묶음을 받아 진행했다.

   http://download.qt-project.org/official_releases/qt/5.0/5.0.2/single/qt-everywhere-opensource-src-5.0.2.zip

( 참고로 다른  *.tar.gz 파일을 받을 경우 configure.exe 가 없는 등 해당 압축은 윈도우환경에서  빌드 문제가 있음)

여기에서는 [C:\qt5build\qt-everywhere-opensource-src-5.0.2] 경로로 압축 해제된것으로 한다.


 - 3.1 MSVC 2012 준비 

    MSVC는  C:\MSDEV\MSVC2012P 와 같은 띄어쓰기 없는 경로에 설치할 것을 권장한다.  그래야 나중에 다른 관련 빌드를 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좀 고생할 수 도 있음)


 - 3.2 MS Direct X SDK (2010 June 버전) 빌드 준비 (Optional)

    Direct X 는 빌드 옵션에 따라 필요 할 수 도 있다.

    설치시에는  MSVC와 마찬가지로  C:\MSDEV\DIRECTX_SDK  와 같은 띄어쓰기 없는 경로에 설치하기 바람.



4. 빌드하기 


  4.1  MSVC  CMD 프롬프트 실행


MSVC를 이용한 빌드를 하려면 관련 환경변수값 (PATH등)이 필요한데. MSVC가 설치된 프로그램목록에서 [VS2012용 개발자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시켜 주면된다.


 4.2 관련 CMD 프롬프트 에서 관련 PATH 추가 

 

SET PATH=%PATH%;C:\qt5build\jom;C:\qt5build\libs\openssl\bin


SET LIB=%LIB%;C:\qt5build\libs\openssl\lib;C:\qt5build\libs\icu-51-1\libs\lib

SET INCLUDE=%INCLUDE%;C:\qt5build\libs\openssl\include;C:\qt5build\libs\icu-51-1\libs\include


4.3 configure.bat 실행


configure.bat -prefix c:\qt502_static -static -debug-and-release -platform win32-msvc2012 -developer-build -opensource -confirm-license -nomake tests -make-tool jom -openssl -nomake examples -nomake tools -nomake tests  -opengl desktop


4.4 컴파일과 링크   (멀티코어사용)


jom -j 8







우분투 환경에서  XE(XpressEngine)  설치하려면 사전에 필요한 패키지들이 몇 있습니다.


관련한 명령들만 간결하게 준비 정리해봅니다.



1)먼저 관리자용 사용자 id생성 (예 xeadmin),  그리고 원하는 유저를 admin그룹에 추가하면됨


#useradd xeadmin


2) 해당 관리자용 id를 sudo가능 사용자로 등록


#visudo

위 이용해 /etc/sudoers 파일에  다음 줄 추가(이미 넣어져 있을 수 있음)

#==================
%admin ALL=(ALL) ALL
#==================

 그리고 원하는 유저를 admin그룹에 추가.

#usermod -G admin  <userid>  



이제 부터는 앞서 만든 관리자아이디(xeadmin) 로 로그인 후 작업

3) apache2 설치

$sudo apt-get install apache2 

# 아래 모듈이 설치되지 않으면  XE DB 설정화면이 넘어가지 않은 현상 발생.
$sudo apt-get install libapache2-mod-auth-mysql

4) php5 설치

$sudo apt-get install php5
$sudo apt-get install libapache2-mod-php5
$sudo apt-get install php5-mysql

4-1) php5 용 GD 라이브러리 설치 (XE에서 이미지 변환용)
$ sudo apt-get install php5-gd

5) mysql 설치  (여기서  mysql root의 비밀번호 설정한다)
$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6) XE를 위한 mysql DATABASE 준비

$mysql -u root -p 


DB 생성

 

mysql> create database <db명> default character set utf8 default collate utf8_general_ci;


 User 생성및 권한 부여 

mysql> create USER '<유저id>'@'localhost' IDENTIFIED BY '<암호>';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 TO '<유저id>'@'localhost' WITH GRANT OPTION;

mysql> use mysql

mysql> INSERT INTO db (Host,Db,User,Select_priv,Insert_priv,Update_priv,Delete_priv,Create_priv,Drop_priv) VALUES('localhost','<db명>','<유저id>','Y','Y','Y','Y','Y','Y');

mysql> FLUSH PRIVILEGES; 


http://www.xpressengine.com/download  에  최신 XECore.zip 파일 다운로드 후 압축해제

필요시 XECore 압축해제 경로에 권한 부여 

$chmod -R 777  xe


 /etc/apache2/sites-available/default   파일에서  DocumentRoot 에  XE 압축해제 경로 지정 
 
그리고 apahce2 재시작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웹브라우져로 접속 후 XECore Setup 진행


  해마다 여름이면 국립자연휴양림을 한번씩 가곤 했었는데.  


   정말 사람 많은 극 성수기는 당첨이 되본적이 없고 성수기 끄트머리에 경우 같이 여행가는 식구들 모두 추첨에 참여하면 1개 정도 갈 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올해 2013년도에도  국립자연휴양림 성수기 추첨 계획이 나왔네요.





추첨으로 예약이 되는 대상 성수기 기간은  2013년 7월 15일(월)~2013년 8월 24일(토) 까지 입니다.

해당 기간에 예약은 모두 추첨이네요.


추첨후보 접수하려면 .  6월10일 10시 부터 6월18일 18시 까지 등록을 해두어야 합니다.


최종 당첨여부는 2013년 6월 20일(목) 오후 2시에 알수있습니다. 


그리고 이후 부터는 해당기간에 오픈되어있어  예약 취소건에 대해 대기/예약이  가능합니다.


추첨제및 상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www.huyang.go.kr





   오즈 그레이트 앤드 파워풀을 봤네요.


오즈의 마법사얘기 인데.  그동안 알아왔던  도로시는 나오지 않네요...  오즈의마법사의 프리퀄 입니다.


도로시가  찾아갔던 에메랄드성에 있던 가짜 마법사  오즈가 어떻게 그곳에 있게 되었는지 하는 이전 이야기 이네요.





같이 보던 아이들 보는 내내 도로시는 언제 나오냐고 하는데..


저도 뒤쪽에서 좀 나오나 했는데... 영화가 끝날때 까지 도로시는 나오지는 않네요.. ㅎ


그래도 아이들과 함께 충분히 볼만큼은 재밌었던것 같네요.



 KBS 스포츠 명불허전에서 2004년 아테네 올림픽때 있었던 남자 탁구 결승전을 보았네요.  


10년 가까이 지난지라 당시 경기결과를 잊고 있었는데... 다시금 감동을 주는 방송이었습니다.


 당시 경기는 유승민이 그동한   왕하오에게 청소년시절에 처음 딱 1번 이긴뒤 계속 져왔던터라 다들 유승민이 상대적 열세라고 판단하고 있었던 상황입니다.


   유승민선수는 왕하호선수의 이면타법에 철저한 대비를 하기 위해 올림픽준비기간 동안 하루에 2만번씩 공을 쳐냈다고 하네요. 당시 유승민의 코치였던 김택수는 스스로 올림픽출전권을 포기하고 유승민 연습을 도왔다는 것도 정말 감동입니다.


   최근 유승민이 당시 상황을 기억하는  인터뷰에서는  경기 마지막 금메달 포인트에서   유승민이 오히려 왕하호가 (이면타법)백핸드로 쳐내도록  일부러 공을 맞춰주고 이를 받아치는 (계획된 방향)공격으로 무릅꿇게 만들었다니...    

  실로  유승민이  왕하호의 최대 무기를 역으로 이용한 놀라운 묘수가 아닌가 싶습니다.


다들 예전 2004년 그때 보셨겠지만.


지금쯤 다시보아도 좋을듯합니다.

  우리가 감염성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혹은 박테리아(세균)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둘 간의 차이는 뭘까요? 


저도 평상시 궁금해서 여기저기 많은 자료를 찾아서 정리해 봤습니다.



   우선 크기면에서 세균이 바이러스보다 훨씬 크네요. 10~100배 정도.  그리고 세균은 세포형태의 유기체이나 바이러스는 세포가아닌 RNA나 DNA 정보만 갖고 있는 단백질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바이러스는 유기물로 구성되어있으나 유기생물체라고 하기에는 원시적인 상태라고 보는거죠. 그러다 보니 분열과정통해 번식하는 세균과 달리 바이러스는 세포속에 침투해서 세포의 자원을 이용해 자신의 정보를 복제하는 방식으로 퍼져나간다고 합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세포없이는 존재할 수 없고 항상 세포에 붙어있어야 존재할 수 있는거죠.


아래 그림은 세균(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비교해본것입니다.



아래 그림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그림의 위쪽에 우주괴물같이 생긴게 바이러스입니다. 바이러스가  세포에 붙어 바이러스 내부에 있는 RNA 나 DNA 정보를 세포내에 심고 있는 것이죠.  해당 세포는 세균이 될 수 도 있습니다. 


(출처 :Wikipedia Virus)



  바이러스는 구조가 간단하다보니  변종도 쉽게 생겨나서  세균보다 정복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아직까지도 바이러스 질병인 감기를  완전 정복하지 못한 이유이기도 하다는군요.  세균도  바이러스정도는 아니어도 슈퍼박테리아 같은 항생제를 이겨내는 변종이 생겨나는것을 보면. 결국 이렇게 변종하는 질병원인들로 부터 살아남으려면.  최대한 감염을 피하고  면역력을 강하게 하는것 밖에는 없는 듯 합니다.




자료 출처 : 

http://www.diffen.com/difference/Bacteria_vs_Virus

http://en.wikipedia.org/wiki/Virus



====

면역력에 좋은 항바이러스 음식 http://funnylog.kr/687




 

 지난번에는 VPN이 어떤것인지 개념을 잡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실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VPN자체는 터널링을 이용한 가상의 전용망이라는 개념입니다.  실제 서비스에서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장 가장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PPP(Point To Point Protocol) 라는 프로토콜에서의 가상의 인터페이스 카드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가상인터페이스는  가상의 랜카드(포트)를 생각하면됩니다.  앞서 VPN개념강좌에서 VPN은 가상의 전용선을 이용한 망이라고 말씀드렸었는데요.  가상의 전용선연결하기위해서는 말그대로 가상이기때문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도  가상으로 만들어진다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즉, 우리가 랜을 구성(인터넷을)하려면  컴퓨터 랜포트에 랜케이블을 연결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눈에 보이는 랜포트 말고 가상의 랜포트가 더 생겨나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러한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PTP 를 이용한 VPN 연결의 이해 


  MS Windows에서는 VPN을 위해  PPTP(Point To Point Tunneling Protocol)방식을 지원합니다. PPTP는 MS를 비롯한 몇몇 회사가 개발한 VPN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1.  실제 이더넷어댑터 상태 보기 

도스프롬프트(cmd.exe) 를 실행시키고  ipconfig 명령어로 현재 어댑터 상태를 확인합니다.


 C:\>ipconfig


Windows IP 구성



이더넷 어댑터 로컬 영역 연결:


   연결별 DNS 접미사. . . . : localdomain

   IPv6 주소 . . . . . . . . . : fdb2:2c26:f4e4:0:4420:9b5f:8889:a44

   임시 IPv6 주소. . . . . . . : fdb2:2c26:f4e4:0:f0a6:f616:949b:6028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4420:9b5f:8889:a44%11

   IPv4 주소 . . . . . . . . . : 10.211.55.4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10.211.55.1



C:\>


2. PPTP 연결한 뒤 어댑터 상태 보기.


C:\>ipconfig


Windows IP 구성



PPP 어댑터 회사 VPN 연결:


   연결별 DNS 접미사. . . . :

   IPv4 주소 . . . . . . . . . : 192.168.1.81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55.255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0.0.0.0


이더넷 어댑터 로컬 영역 연결:


   연결별 DNS 접미사. . . . : localdomain

   IPv6 주소 . . . . . . . . . : fdb2:2c26:f4e4:0:4420:9b5f:8889:a44

   임시 IPv6 주소. . . . . . . : fdb2:2c26:f4e4:0:9032:41af:f2c1:2185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4420:9b5f:8889:a44%11

   IPv4 주소 . . . . . . . . . : 10.211.55.4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10.211.55.1


C:\>



PPTP VPN이 연결되면 [PPP 어댑터 xxxxxx 연결]  이 추가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때 부여되는 IP 는 VPN 서버측에서 제공되는 IP입니다.  여기에서는 192.168.1.81 라는 주소를 부여 받게 된것이고.  해당 IP가 회사 내부네트워크 영역이라면 해당 VPN에 연결된 PC 는 마치 회사 내부에 있는 컴퓨터처럼 내부망에 접근이 가능하게 되는것입니다.  그리고 PPP 어댑터는 가상의 랜카드 역할을 하게 되는것입니다.



그럼 이제 PPTP  를 이용한 VPN을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VPN을 구성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소규모 사무실에서 특별한 큰 비용들이지 않으면서  어렵지 않게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기준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여기에서는  공유기를 이용해서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제가 사용중인 ipTime 공유기를 설정예를 보여드릴 텐데 다른 공유기들도 VPN만 지원한다면 유사하게 설정하면 됩니다.



PPTP VPN 구성하기 


1.  공유기 설정


메뉴 에서 [특수기능] - [VPN서버설정]선택




그리고 VPN 서버 설정화면에서 


동작모드 :실행

암호화(MPPE) : 암호화사용함


선택 합니다.


그리고 VPN 접속시 사용할 계정을 추가 해주어야합니다.


아이디/암호를 넣어주고.  할당 될 IP주소는 해당 USER가 VPN접속하고 나면 부여받게 되는  IP입니다. 해당 IP를 사용하게 되면서, 마치 해당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된상황이 되는거죠.


해당 IP는 사전에 DHCP 부여 영역에서 제외를 시켜야합니다.




VPN 접속계정은 여러명이사용할 경우 사용자별로 만드는게 좋습니다. 동시접속등의 경우에도 문제가 없어야 하니까요.



이렇게 해서 VPN 접속계정까지 추가했다면.  공유기 설정을 저장합니다.  공유기 종류에 따라서는 공유기를 다시 실행시켜야 할 수 도 있습니다.



2. VPN 접속하기 


그럼 이제 외부에서 VPN을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에서는 Windows 7 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다른 버전에서도 유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제어판에서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로 찾아 들어갑니다.



네트워크 설정 변경에서 [ 새 연결 또는 네트워크 설정]을 선택합니다.



[연결 옵션] 선택에서  회사에 연결을 선택합니다. (회사라는 말은 그냥 상징적인 단어입니다. 그냥 VPN 연결용 이라고 보면 됩니다.)





연결 방법중에서  [내 인터넷 연결 사용(VPN)]을 선택합니다.



인터넷 주소에는 회사 공유기의 실제 IP 또는  미리 만들어둔  DDNS 이름을 넣어주면됩니다.  

(DDNS 는 http://funnylog.kr/457 글을 참고하세요)


그리고 대상이름을 적절히 넣어주고.





다음에는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넣어줍니다.



그리고 연결을 진행하면 바로 VPN 연결이 되고,  추후에 연결을 하고 자 할때는 작업표시줄에 네트워크상태표시 아이콘을 클릭하면 (WIFI나 유선)  VPN 설정목록이 보입니다. (아래그림참고)




그리고 해당 VPN 설정 선택후 [연결] 을 누르면 아래 처럼 로그인 창이 나타납니다. 마치 전화다이얼업모뎀 연결과 같은 화면 입니다.




앞서 공유기에 등록한  VPN 계정을 이용해 연결을 하면 됩니다.



연결이 끝나면 사무실vpn  [연결됨]으로 바뀌었습니다.


네트워크 연결 아답터 목록에서 보면 사무실vpn 이 활성화 되어있습니다.  해당 WAN miniport 가 PPTP 용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랜카드)가 되는 셈 입니다.


그리고  도스프롬프트(CMD)에서 ipconfig 명령으로 확인 하면  PPP 어댑터가 연결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해당 어댑터의 IP는 공유기에서 설정한 내부 IP가 됩니다.




이제  외부에서 사무실 내부로 접속한 상태가 되어.  내부내트워크 자원(공유폴더, 그룹웨어 등) 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제 경우는 사무실밖에 있을때 스마트폰의 핫스팟기능으로 노트북을 WIFI로 인터넷 연결한뒤 VPN 을 이용해 사무실등에 연결할때 사용하는 편입니다.




  아는분 운전자 보험만기로 재가입을 위한 설계를 하게 되어 한달전쯤 운전자보험 설계요청을 해서 비교해보았던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대상 보험 상품은 모두 다이렉트 상품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먼저 AXA다이렉트 운전자보험 (다이렉트 늘안심운전자보험 1304) 상품설계 입니다.

기준은 48세 여성 주부입니다.






 

담보

납입
기간

보험
기간

가입금액
(
보험료)

지급기준

교통상해사망후유장해

10

10

10,000,000
(9,230
)

교통상해입원일당

10

10

20,000
(1,900
)

일반상해흉터복원수술

10

10

70,000
(100
)

일반상해골절화상진단수술

10

10

500,000
(1,000
)

일상생활배상책임

10

10

100,000,000
(100
)

일상생활강력범죄발생

10

10

1,000,000
(30
)

운전중교통사고처리지원금

10

10

30,000,000
(1,750
)

운전중중상해교통사고처리지원금(동승자포함)

10

10

30,000,000
(1,120
)

운전중사고벌금

10

10

20,000,000
(240
)

운전중사고변호사선임비용

10

10

5,000,000
(110
)

자동차사고성형수술

10

10

1,000,000
(40
)

이륜자동차 운전중
상해부담보 특별약관

***

***

***

 

보장 보험료 합계   15,620

 

10년납 이며 예상만기 환급금은 100만원 정액이며 이때 보장 보험료 합계는 15,620원입니다.


보장내용은 운전자보험에서 보통 제공하는 담보조건에 교통상해입원특약,  성형비용 ,골절화상 같은 추가적으로 필요한 특약들이 들어있습니다.






다음은 동부화재 프로미 운전자보험입니다.


20년납입후 80세까지 계속 보장받는 형태로 설계를 뽑아 보았습니다.




소득이 어느정도 괜찮을때 불입해두고  이후에는 80세까지 보장받는 설계입니다. 


 동부화재에도 중단기간 가입이나 보장성위주로만 설계도 가능합니다. 전체적으로 특약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범위가 넓어 선택사항이 많습니다.


운전자보험 설계시에는 가급적 가능한 특약을 모두 요청하신뒤에.  적절한 월납비용을 고려한뒤 가장 덜필요한 특약부터 빼는 방법으로 꼭 필요한 특약까지만 가입하도록 하고,  상해보험가입이 있다면  중복되지 않도록 하거나 리모델링을 통해서 유리하게 정리하시는게 필요합니다. (상담시 설계사등에 문의하면 편리합니다.)



----------------------------


+ Recent posts